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경제금융 이야기

미국주식ETF QQQ-QLD-TQQQ

by 자유를 꿈꾸는 마리 2023. 5. 1.

 

미국주식 ETF 중 가장 많이 사람들이 투자하고 있는 종목 중에 하나가  기술주 관련 ETF인 QQQ ,QLD,TQQQ 의 연간 수익률을  알아보겠습니다.

ETF는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이 되며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합니다. ETF는 주식형,채권형,레버리지형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많은 투자자를 가지고 있는 QQQ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QQQ는 나스닥100을 주종하는 ETF로서 2배 레버리지로 움직이는 ETF는  QLD이고, 3배 레버리지로 움직이는 종목이  TQQQ 입니다. 그러나 ETF의 운용사는 다릅니다.

 

QQQ (Invesco QQQ  Trust)

나스닥 100 를 추종하며 운용사는 인베스코 입니다.  QQQ는 1999년에 상장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QQQ는 시가총액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섹터비중을 조절하며 매년, 또는 매월 검토 조정 가능합니다. 섹터별로 본 가중치는 정보기술주가 1위이고 소비자, 통신, 산업,필수소비재, 의료 분야등으로 나누어 볼수 있습니다. 상위보유종목 10개를 살펴보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메타플랫폼, 펙스,코스트코,브로드컴,알파벳A/C 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QQQ의 년도별 수익률을 살펴보면 매년 10-30%의 범위에서는 꾸준한 수익를 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2003년, 2009년, 2020년은 년수익률이 50%에 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LD (Proshares Ultra QQQ) 와  TQQQ (Proshares UltraPro QQQ)

QLD와 TQQQ는 같은 운용사인 프로셰어즈 입니다.  QLD는 2006년에, TQQQ는 2010년에 상장되었습니다. QQQ의 2배 레버리지 ETF를 QLD라고 하고, QQQ의  3배 레버리지를 TQQQ 라고 하며, 이들 ETF는 미국 레버리지 ETF중 순자산 규모가 가장 큽니다.

QLD와 TQQQ는 2배,3배 레버리지 ETF의 년간 수익률입니다. 안정적인 QQQ 와는 달리 수익률이 최고 2009년에는 121% 그리고 작년 2022년에도 마이너스수익률 60%를 기록한 것을 볼수 있습니다. 3배 레버리지 ETF인 TQQQ의 경우에는 139%,133%,118%, 110%의 수익률을 달성한 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년과 같이 어려웠던 시기에는 마이너스수익률 80%로 마감이 된 것을 볼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비율이 올라갈 수록 수익률도 커지지만 마찬가지로 손실률로 배수만큼 커진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QLD 연간수익률
TQQQ 연간수익률

 

미국주식 ETF는 국내증권사에서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다만 증권사 마다 시간대와 수수료율 그리고 달러의 환율 등이 다르기 때문에 잘 확인해 보셔야겠습니다. 최근 주식시장의 하락으로 ETF역시 성적이 안좋은 상태입니다. 특히나 레버지리 ETF의 경우, 지수가 우상향 할때는 수익률이 훨씬 뛰어나지만, 횡보하거나 하향 할때는 배수이상의 위험이 있다는 점 아셔야겠습니다. TQQQ의 경우 과거의 수익률을 근거로 적립식과 장기투자를 통해서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는 부를 창출 할 수 있다는 의견들이 있긴 합니다 . 3배 레버리지는 고수익을 주는 만큼 고위험이 따릅니다.

미래의 결과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투자의 결과는 투자자의 몫입니다. 아는 것이 힘이고 아는 것이 우리가 경제적 자유로 가는 한 걸음이 될 것입니다.  단순하면서 조금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드렸습니다. 그 단순한 정보가 새로운 길의 첫 발걸음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시에는 여러가지 정보수집과 공부를 해야 하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미국주식이 너무 먼 어려운 얘기하고 생각을 하신다면 국내주식부터 하나씩 공부해 보아도 좋겠습니다.  체계화된 주식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딩서비스를 받아 보면서,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요즘은 연령대별, 단기별, 중기별, 장기별 ,수익별, 성향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물론 최근 불거진 임창정 피해사건인 SG증권사태 처럼 모든 것을 전적으로 맡긴다는 것 자체가 뭔가 의심을 해 보셔야 합니다. 다만 지금 투자의 한걸음에서 조언을 받는 것으로 접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jamongpick.com/47/35604

 

https://www.jamongpick.com/47/35604

 

www.jamongpick.com

이 글은 소정의 원고료를 받고 작성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